본문 바로가기

Experience3

우리 팀이 오로지 프로덕트에 집중하도록 1. 더 중요한 일에 집중하기 위해인턴 생활을 시작한 지 벌써 4개월이 지났다. 처음에는 ‘코드를 잘 짜는 엔지니어’가 되는 데 집중했다면, 요즘은 팀이 더 좋은 프로덕트를 더 빨리 만들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더 큰 매력을 느낀다. 프로덕트를 만드는 개발자로서 자동화 작업은 단순한 효율화가 아니라, 더 중요한 일에 집중하게 만드는 작업이라고 생각하게 됐다.그래서 이 글에서는 우리 팀이 어떻게 자동화를 통해 생산성을 올리고 있는지 소개하면서 자동화가 왜 나에게 중요한 일이 되었는지 정리해보려고 한다. 1.1. 병목인 줄도 모르고 낭비하고 있던 시간들 shadcn을 도입한 뒤, 그동안 직접 만들고 관리하던 공용 컴포넌트 폴더를 통째로 삭제했던 순간을 잊지 못한다. 예전에는 “이건 당연히 우리가 만들.. 2025. 8. 17.
QA 자동화로 팀의 생산성 높이기 목차1. 자동화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 계기2. 전체 자동화 플로우3. 시트 구조 개편4. JSON으로 뽑아 테스트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자5. 니즈를 반영한 기능들6. 한계와 현실적인 선택 1. 자동화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 계기 1.1. 테스트를 도입하고 느낀 점들최근 맡은 프로젝트에서 처음으로 E2E 테스트를 도입하게 되었다. 기능이 꽤 복잡해서 사용자의 흐름을 따라가며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도 다양했다. 모든 시나리오를 수동으로 테스트하는 건 시간적으로나 체력적으로나 한계가 있었고, 특히 이미 발생했던 버그를 잊지 않고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일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보니 확실히 체감되는 변화가 있었다.QA에서 버그가 발견되기 전에 개발자가 먼저 실패를 마주할 수 있다.수동으로는 .. 2025. 7. 13.
실뜨기같은 FSD [목차]1. 서론2. FSD의 가장 큰 장점3. FSD에서 마주친 애매함들4. Next.js 프로젝트에서의 FSD 적용5. 도메인 중심 구조가 가지는 장점6. 결론 1. 서론 FSD는 shared, entities, features, widgets, pages, app 등 계층을 기준으로 폴더를 나누고, 각 계층 간 명확한 의존성 흐름을 강제하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공식 문서에서도 강조하듯, FSD는 정해진 정답이 없고 팀만의 최적화된 컨벤션을 찾아나가야 한다. 우리 팀은 "서로 얽혀있는 복잡한 도메인 로직과 UI를 어떻게 분리할지", "어떻게 하면 더 명확하게 관리할 수 있을지"라는 고민을 시작으로 FSD를 도입했고, 그 과정에서 우리만의 정답을 찾아나가고 있는 중이다. 요즘 레거시 코드의 마이그레이.. 2025. 6. 17.